오늘의 한국과 한국인을 있게 한 두 번의 대사건은 신라의 삼국통일과 이로 인한 民族의 탄생이고, 대한민국 建國에 의한 국민의 탄생이다. 국민은 민족이나 백성보다 더 進化한 존재 즉, 국가의 主權者(주권자)이다. 국민은 하늘에서 떨어진 게 아니라 민족이라는 母胎(모태)에서 생겨난 공동체이니 신라의 삼국통일이야말로 민족사 2000년의 최대 사건이다.
삼국통일을 주도한 신라의 태종무열왕(金春秋)과 文武王(金法敏), 그리고 대한민국의 建國과 근대화를 주도한 李承晩과 朴正熙의 공통점이 있다. 네 사람 모두 해외 경험을 가진 개방파였다는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무서운 自主정신의 소유자였다. 개방과 자주는 實用정신으로 매개될 때 같은 뿌리를 이룬다. 이들은 당대의 세계를 활동무대로 삼았다. 국제경쟁력이 있는 지도자였다. 세계를 무대로 한 점에서 '국제시장파'라고 부를 만하다. 반면 이들과 대척점에 있었던 연개소문, 조선조의 선비들, 김일성, 그리고 좌익들은 세계 정세를 모르거나 오판하여 나라를 망치거나 백성들을 고생시켰다. 이들은 視野(시야)가 좁은 '우물안 개구리파'였다.
金春秋는 왕이 되기 전에 고구려(642년), 일본(647년), 唐(648년)을 방문하여 최고 지도자들을 만나는, 목숨을 건 외교를 하였다. 당시에 바다를 건너는 것만도 위험한 여행인데, 敵陣(적진)으로 들어간 그였다. 그는 세 나라의 수도에 오래 머물면서 지도자들과 깊은 대화를 가졌다. 三國史記와 日本書記(일본서기), 舊唐書(구당서)엔 김춘추의 출중한 풍모가 일본과 唐의 지도층에 깊은 인상을 남긴 것으로 적혀 있다.
김춘추는 이런 대화와 見聞(견문)을 통하여 많은 것을 배웠을 것이다. 일본, 고구려, 唐의 지도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그들의 장단점과 戰略(전략)전술,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예술 및 제도에 대한 배움도 컸으리라. 특히 당시 세계최대 도시인 唐의 長安에서 그가 보고 느낀 것은 그 후 新羅의 내부 개혁에도 많은 참고가 되었을 것이다.
김춘추가 도착한 서기 648년의 長安은 화려한 문화를 자랑하였다. 唐의 전성기를 연 태종이 즉위한 지 22년, '정관의 治'로 불리는 태평성대였다. 김춘추는 거대한 건축물뿐만 아니라 장안으로 모여드는 외국인과 외국문물을 접하고 더 감탄하였을 것이다. 唐은 대외 개방적인 정책을 펴 장안엔 북방과 西域(서역)과 서양의 상품, 예술, 종교가 모여들었다. 기독교도 접할 수 있었다.
김춘추는 장안에 적어도 여섯 달 이상 머물렀을 것이다. 그는 당 태종을 만나 羅唐동맹을 맺고 백제, 고구려를 치기로 약속한다. 삼국의 사신중 김춘추처럼 중국의 황제를 직접 만나 담판한 사람은 일찍이 없었다. 신라뿐 아니라 한민족의 운명을 결정한 頂上외교였다.
김춘추는, 중국의 가장 위대한 인물중 한 사람인 唐太宗을 움직일 만한 人品과 교양의 소유자였다. 동양三國을 여행하면서 당대의 최고 인물들과 오랜 대화를 나눈 경험이 그의 人格과 경륜으로 昇華(승화)되었을 것이다.
김춘추는 아들 세 사람, 즉 金法敏, 金仁問, 金文王까지 唐의 조정으로 파견하였다. 宿衛(숙위)라고 불리는 이 제도는 신라의 王族이 唐의 황제를 모신다는 명분으로 唐의 조정에 머물면서 선진된 문명을 배우고 동시에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했다.
西江大 총장인 李鍾旭(이종욱) 교수는 '春秋-신라의 피, 한국-한국인을 만들다'(효형출판)에서 이렇게 썼다.
<춘추의 세 아들이 당나라에 갔던 것은 또 다른 의미도 지닌다. 당시 당나라 수도 장안성은 국제도시로서 신라인으로서는 상상도 하기 어려운 모습을 선보였다. 그것은 춘추 부자에게는 말할 수 없는 충격이었을 것이다. 그러한 충격은 가본 사람이 아니고서는 가질 수 없는 경험이었다. 이 경험을 통하여 춘추는 신라의 중국화, 즉 세계화를 구상하게 되었고, 그의 아들들과 더불어 이를 실행으로 옮기게 된 것이다.>
나중에 태종무열왕이 되는 김춘추와, 문무왕이 되는 김법민은 당대 최고의 정치와 제도와 문화를 見聞함으로써 높은 識見(식견)을 가진 인물이 되었다. 이런 實力이 삼국통일을 이끈 리더십이었다. 두 사람은 경력상 親唐派(친당파)였으나 國益과 자존심이 걸린 문제에선 唐과의 전쟁도 불사하는 무서운 自主派였다. 진정한 自主정신은 북한식 폐쇄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김춘추, 문무왕, 이승만, 박정희 같은 열린 정신에서 생긴다는 것이 역사적 교훈이다.
김춘추는 당 태종을 만나 羅唐동맹의 약속을 맺고 귀국한 후 중국의 年號(연호), 衣冠(의관)을 채택한다. 좁게 보면 중국화이고, 요사이 말로 하면 세계화 개혁 정책을 펴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주도하는 동양문명의 主流에 신라를 편승시킨 것이다.
대한민국 건국을 주도한 李承晩도 김춘추와 같은 국제적 교양인이었다. 그 또한 당대 최고의 문명을 뽐내는 미국의 워싱턴에 오래 머물면서 미국의 대통령 두 사람(시오도어 루스벨트, 윌슨)과 친교를 맺었다.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학사, 하버드에서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승만 또한 김춘추처럼 국제적 감각을 자주정신으로 포장한 이였다.
그런 李承晩이 建國을 주도한 것은 대한민국의 운명과 進路를 세계의 先進主流(선진주류) 세력과 연결시킨 행운이었다. 김춘추처럼 위대한 국제적 교양인 이승만이 워싱턴에서 세계의 흐름을 응시하면서 다진 경륜을 대한민국 建國 과정에서 펼 수 있었다는 것이 민족의 행운이 아니고 무엇인가? 위대한 인물이 그 위대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역사적 찬스를 갖는다는 것은 기적이다.
이승만을 이은 朴正熙 또한 김춘추를 이은 文武王처럼 개방적 자주파였다. 그는 滿軍(만군), 日軍, 한국군, 미군을 두루 경험하면서 군사文化를 익히고 만주에서 야망을, 일본에서 국가주의를, 미국에서는 민주적 제도운영의 기술을 배운 국제파였다. 그 또한 이승만처럼 이런 국제성을 자주적 관점에서 흡수한 사람이었다. 박정희는 특히 큰 조직을 만들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건설적 지도력을 군대와 외국경험에서 배웠다. 두 '국제시장파' 지도자가 뒷받침해준 李秉喆(이병철), 鄭周永(정주영) 등 대기업가들 또한 국제시장을 무대로 기업을 키워 한국을 세계의 흐름 속에 동참시켰다.
김춘추, 문무왕, 이승만, 박정희가 경험한 唐, 미국, 일본은 當代의 선진국이었다. 반면에 연개소문, 의자왕, 김일성, 김정일은 기본적으로 국내파였다. 김일성의 외국 경험은 전체주의 체제인 중국과 소련 정도였는데, 이는 先進된 생각이 아니라 後進的 생각을 심었을 것이다. 自虐的(자학적) 역사관을 정책화하여 대한민국을 自滅(자멸)로 몰고가려 하였던 노무현씨는 대통령에 취임하기 전까지 미국 여행을 한 번도 하지 못하였던 이다. 인간은 어디서 무엇을 배고 배우느냐에 의하여 識見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우리가 韓民族이란 의식을 깔고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세계 속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준 민족사의 두 쾌거는 신라의 삼국통일, 대한민국의 建國인데, 두 사건의 主役(주역)들이 모두 '세계적 한국인'이었다는 점에서 느끼는 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세상을 넓게 보는 인간만이 조국을 제대로 사랑할 줄 안다.
대한민국은 아직 김춘추, 문무왕, 이승만, 박정희를 깎아내리는 것을 業으로 삼고 살아가는 자들을 지식인, 진보파로 대우하는 나라이다. 국제시장파를 우물안 개구리파가 몰아세우는 꼴이다. 자유통일은 북한을 우물안 개구리 신세에서 구출, 국제시장의 무대로 끌어올림으로써 세계의 大勢(대세)를 타도록 하려는 것이다.
'국제시장파'가 발전시킨 나라를 망치는 '우물안 개구리파'
- 趙甲濟
- ▶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 2015-03-04,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