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지 않은 경우에까지 많은 것을 가정하면 안 된다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 택해야

대학 재학시절 <현대물리학> 수업을 들으면서 오컴(Ockham, 1285년~1349년)이라는 인물을 알게 됐다. 오컴은 영국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수사이자 철학자로 독일의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가 존경했던 스콜라 철학자이다. 오컴은 자신의 저서에서 아래와 같은 말을 남겼다.

기사본문 이미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까지 많은 것을 가정하면 안 된다.”

“보다 적은 수의 논리로 설명이 가능한 경우, 많은 수의 논리를 세우지 말라.”

이것이 바로 유명한 <오컴의 면도날: Occam‘s Razor>, 즉 ’오컴의 법칙‘이다. 오컴의 법칙은 어떤 현상을 설명할 때 불필요한 가정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좀 더 쉬운 말로 번역하자면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을 선택하라'는 뜻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쓸데없이 복잡한 가설들이 후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진 사례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지구를 우주의 중심으로 여겼던 천동설(天動說)을 들 수 있다. 

김필재(조갑제닷컴) spooner1@hanmail.net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로
Copyright ⓒ 조갑제닷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댓글쓰기 주의사항

댓글달기는 로그인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내용은 100자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광고, 욕설, 비속어, 인신공격과 해당 글과 관련 없는 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PC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