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애국활동을 탄압한 노무현 정권 시절 총리

노무현 정권의 親北행태는 침묵으로 일관
사진출처/원순닷컴 동영상 갭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선거캠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동했던 李海瓚(이해찬, 혁신과 통합 공동대표) 前국무총리는 젊은 시절부터 左派시민단체에서 활동해온 인물이다.

그는 1972년 서울대 입학해 1974년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가입, 1983년 민청련(민주화운동청년연합)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1985년 민통련(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정책실 차장­총무국장­부대변인을 지냈다.

이 가운데 민청련과 민통련은 각각 1991년 결성된 전국연합(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과 1989년 결성된 전민련(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의 前身이다.

민청련은 ‘민족해방혁명론’(NDR)에 근거해 “한국사회는 제국주의의 기반 한 민족적 모순과 독점자본에 기반을 둔 군부파쇼세력과 민중간의 계급적 모순이 중첩돼 있다”면서 이른바 ‘反美反獨裁(반미반독재)투쟁’을 전개했다.

민청련 기관지 <민주화의 길>을 보면 “미국은 그들의 가장 믿음직스러운 대리통치 세력인 군부파쇼를 통해 한국에 대한 신식민지 지배를 항구적으로 안정화시킨다(17호 논설)”, “미국과 매판독재정권의 지배가 계속되는 한 우리의 투쟁은 한 순간도 멈출 수 없다(창립 5주년 시국선언문)”는 등 한국 사회를 美제국주의 식민지로, 대한민국 정권을 親美隸屬(친미예속)파쇼정권으로 인식하고 있다. 민청련의 이 같은 NDR노선은 이후 민통련, 전민련, 전국연합을 거치면서 소위 美帝(미제)타도를 최우선과제로 삼는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혁명(NLPDR)’노선으로 구체화됐다. 민청련의 맥을 이은 전국연합은 연방제통일을 목표로 1991년 결성이후 2008년까지 국내 親北운동권의 구심점역할을 했다.

재임기간 내내 愛國활동 탄압, 親北행태 침묵

■ 이해찬 前총리는 총리 재임시절 ‘愛國활동’은 탄압하고, ‘親北행태’에 침묵하는 言行을 보였다. 노무현 정권은 8.15기념 남북공동행사 기간 중인 2005년 8월14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남북통일축구대회에서 태극기 사용을 금지하고 ‘대한민국’이라는 구호를 외치지 못하도록 방침을 내린 적이 있다.

이에 앞서 이해찬 前총리는 같은 해 8월8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인공기와 김정일의 사진 등을) 훼손-소각하는 행위를 정부가 관대하게 대할 때는 지났으니 단호하게 조치하도록 경찰에 지시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남북이 평화 공존 단계에 오는 데 50년 걸린 이 시점에 와서도 정체가 불분명한 단체들이 이런 행위를 하는 것은 정치적으로도 법적으로도 결코 용납되지 않는다”면서 대한민국 공권력으로 하여금 利敵단체 상징물의 보호를 지시했다.

그는 또 2004년 10월5일 보수단체가 주도한 국보법사수 국민대회에 대해 “허위 사실 유포나 憲政(헌정)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는 단호히 대처하라”고 지시했고, 그로부터 한 달 뒤 실무를 맡았던 신혜식 독립신문 대표가 구속됐다.

같은 해 9월15일 각계 원로들의 국보법폐지반대 시국선언이 발표되자 “쿠데타 선봉에 섰던 분들이 여러 분 포함됐던데, 그런 분(들)이 폐지해선 안 된다고 하는 것은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다. 국보법은 전형적인 惡法이고 잘못된 法이므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해찬 前총리는 전국연합에 소속된 통일연대, 한총련, 전농(전국농민회총연맹) 등 親北운동권의 폭력난동에 대해서는 취임 후 비판적으로 언급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는 또 노무현 정권의 親北성향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도 극도의 반감을 보였다.

그는 2005년 10월24일 김수환 추기경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노무현 정권이) 대한민국을 어디로 끌고 가려느냐”고 우려를 표명하자 “추기경께서 상당히 정치적인 발언을 하신 것 같은데 우리 정부와 노무현 대통령이 마치 자유민주주의체제를 부정하는 것처럼 자꾸 이야기하는 의도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이해찬 前총리는 “유신체제 당시 (우리를) 빨갱이로 몰던 사람들이 요즘 와서 이념,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보면서 사람이 살면서 별꼴을 다 본다는 생각이 든다. 국민을 분열시키는 이간전술에 말려들 정도로 내가 미숙한 총리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그는 유럽을 순방 중인 2004년 10월18일 “조선과 동아는 역사의 반역자다”, “조선과 동아는 내 손아귀에 있다. 까불지 말라”, “전두환·노태우는 용납해도 조선·동아는 용서할 수 없다”면서 “盧대통령이나 나나 거기에 맞서 끝까지 싸울 것이다”, “총리는 보수 세력의 부당한 요구에 타협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날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역사가 퇴보한다”, “한나라당이 나쁜 당이란 것은 누구나 다 안다”고 말한 뒤, 같은 달 28일“한나라당은 차떼기당, 고속도로에서 수 억 원씩 받은 정당”이라고 되받으면서 2주 일 가량 국회가 空轉(공전)되는 원인이 됐다.

서울시 부시장 재직 당시 부하직원 뺨 때려

■ 이해찬 前총리는 1995년 서울시 정무부시장 시절 자신의 兄(형) 부동산 등기서류를 잘못 작성했다는 이유로 서울 송파구청 직원의 뺨을 때리고, 서울시 감사관에게 송파구청 특별감사를 지시하기도 했다. <월간조선>은 2004년 12월호에서 당시 서울 송파구청 재무국장이었던 鄭泰福(정태복)씨 등 사건 당사자 두 명의 증언을 인용해 이를 보도했었다.

<월간조선> 보도에 따르면, 사건의 발단은 대기업을 다니다 퇴직한 이해찬 前총리의 兄이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7억8000만원 상당의 부동산을 구입하면서 비롯됐다.

송파구청 직원이 이해찬 前총리 兄의 소유권 이전 등기를 앞두고 토지-건물 가액의 총액을 잘못 기재해 법원에서 등기가 반려되는 일이 발생하자, 이 사실을 안 이해찬 당시 부시장이 송파구청의 공무원 네 명을 부시장실로 불렀다고 한다.

鄭泰福씨는 “그날(1995년 12월18일) 오후 1시 반쯤 李부시장실에게 관련 서류를 보여주며 해명을 하려는 순간 李부시장이 ‘네가 뭔데, 얼마 받아먹으려고 그렇게 지시했어’라며 내게 반말로 고함을 쳐서 ‘이 사람이 왜 이러나’하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李부시장은 ‘잘못했다’며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하는 실무 직원에게 책인지 서류인지를 집어던졌고, 다가가서 손찌검을 했다”고 증언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 감사관이 말리자 ‘이자들 재산등록서류를 가져와’, ‘내일 당장 송파구 특별 감사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또 다른 공무원은 “李총리가 한 차례가 아니라 여러 차례 손찌검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李부시장은 그 자리에서 송파구 재산국장의 공직자 재산등록 서류를 가져오게 한 후 鄭씨의 재산 상황까지 확인했다고 한다.

鄭泰福씨는 “행정 착오가 있었지만 단순한 실수에 불과했다”면서 “李총리가 자기 兄의 개인적인 일로 구청 공무원들을 불러 폭언을 하고 뺨을 때린 일은 있을 수 없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청에서 10여 년간 근무한 한 전직 공무원은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1990년대 초 이해찬 의원과 구청장 사이에 의견 충돌이 있었고, 李총리가 구청장에게 물 컵을 집어 던졌다”고 했다.

이 같은 증언에 대해 당사자인 前관악구청장 P씨는 “그 당시 일을 기억도 말도 하고 싶지 않다. 지난번 총리 인사 청문회 때 ‘인간적으로 기본이 안 된 사람’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말이 딱맞다”고 말했다.

이해찬 前총리는 2003년 6월 국무총리 인사 청문회에서 “민통련 간부로 재직하던 재야 시절 잘못된 기사를 보도했다는 이유로 모 중앙지 취재기자의 뺨을 때린 적이 있느냐”는 한나라당 沈在哲(심재철) 의원의 서면질의에 대해 “1987년 재야운동을 할 당시 잘못된 보도에 항의하고 언쟁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런 일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답변했다.<조갑제닷컴>

정리/김필재(金泌材)spooner1@hanmail.net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로
Copyright ⓒ 조갑제닷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댓글쓰기 주의사항

댓글달기는 로그인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내용은 100자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광고, 욕설, 비속어, 인신공격과 해당 글과 관련 없는 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PC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