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千의원 등 민주당과 민노당 소속 의원이 중심인 「한미FTA 졸속비준반대 국회의원 비상시국회의」는 4월22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회의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한 뒤 회의장으로 진입했다. 장내 소란 속에서 박진 위원장이 비준안 통과를 선언하려하자 千의원은 朴위원장의 말을 막기 위해 왼손으로 朴위원장의 얼굴을 움켜줬고, 가결이 선포된 뒤에는 위원장 석에 있던 노트북을 들어 내려치기도 했다.
당시 여당 의원들은 『왜 남의 상임위에 와서 이러냐』고 항의했고, 朴위원장은 『이렇게 되면 강기갑·천정배 의원에게 퇴장을 명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천정배 의원은 한미 FTA를 체결한 참여정부에서 장관까지 지낸 분인데 이러면 안 된다』고 했고, 민노당 강기갑·이정희 의원에게도 『폭력적으로 의사진행을 방해하는 것은 민주노동당이 추구하는 민주적 가치에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천정배 의원은 촛불난동 기간 광우병 선동(煽動)의 선봉(先鋒)에 섰던 인물이기도 하다. 千의원은 2008년 6월26일 직접 불법집회 현장에 참석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시위대가 만들어 놓은 모래주머니에 올라가 『나와 민주당 모두 고생하시는 여러분과 함께 할 것』이라며 『여러분 힘내시라』고 격려(?)했었다.
千의원은 촛불난동 주동자들에 대한 당국의 사법처리 방침에 대해 『국민이 피를 흘려 쟁취한 민주적 성과를 몇 십년간 거꾸로 돌리려는 작태(2008년 5월20일 뉴시스 인터뷰)』라며 정부의 법치수호를 비민주적 작태로 비난했었다.
그는 같은 인터뷰에서 『참여정부 때에도 집회 장소를 원천봉쇄하든가, 집회 참가 예정자들을 검문하는 일도 있었지만 국민의 평화적 집회나 시위의 권리를 본질적으로 침해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지금은 집회를 전면 탄압하려는 조짐이 있다』며 폭동(暴動)으로 전개된 촛불난동을 평화적 집회·시위로 미화했었다.
千의원은 같은 해 5월19일 『자발적 시민들의 촛불행렬은 생명과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정당한 의사표현이자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의 행사』라며 야간에도 집회를 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주장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