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수밭에서 회의하는 여성들. 인근에서 수확에 동원된 여성동맹 여성들로 보인다. 무보수 노동이 더욱 생활을 압박한다. 2023년 9월 하순 평안북도 삭주군을 중국 측에서 촬영 아시아프레스
◆ 하루 세 끼 먹고 있으면 '어떻게?'라며 신기해해
"요즘, 도시 서민의 먹는 문제는 정말로 심각합니다. 많은 사람이 하루 두 끼 이하로 살고 있고, 세 끼 먹는 집은 '어떻게 살지?'라고 이상하게 생각할 정도입니다."
양강도 혜산시에 사는 취재협력자 A씨는 이렇게 탄식했다. 2월 초부터 평안북도, 함경북도의 협력자들로부터도 '이제부터 어떻게 먹을 것을 구해야 하나'라는 주민들의 걱정의 목소리가 전해지고 있다.
불안의 이유는 주로 3가지. 살아갈 수 있을 만큼의 현금 수입이 없다는 점. 지난해 가을부터 시중의 식량 가격이 폭등한 것(아시아프레스 조사에 따르면 연초에 비해 백미가 1.65배, 옥수수는 1.38배 올랐다). 그리고, 이제부터 '굶주리는 봄'='보릿고개'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인민반은 말단 행정조직으로 통상 20~30세대, 약 60~80명 정도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보릿고개'란 춘궁기를 이르는 말. 6월경 감자, 8~9월의 옥수수 수확까지의 단경기에는 농촌에서는 저장분이 줄고 도시에서는 식량 가격이 상승한다.
◆ 2023년은 아사자 발생, 지난해는 정부 지원으로 개선
특히 도시 민중에게 큰 타격은 현금 수입의 격감이다. 김정은 정권은 2022년경부터 장사 등 개인 경제활동을 엄격히 규제하고, 국영기업 등 직장에 출근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이 정책 전환에 따라 식량배급을 부활시켰지만 필요량의 3분의 1에서 절반 정도의 지급에 불과해 2023년 3월부터 여름에 걸쳐 지방도시의 취약층이 굶주림과 병으로 다수 사망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식량을 살 돈이 없었던 것이다.
이 혼란의 반성일까, 지난해 김정은 정권은 '절량세대'를 초봄부터 조사해 옥수수 등을 무상으로 지급하는 구제책을 폈다. "굶어 죽는 사람은 크게 줄었다"라고, 취재협력자들은 입을 모았다.
◆ 아사자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한 조사 개시
올해도 '보릿고개'에 들어서는 시기가 되자, '절량세대' 조사가 시작됐다. 현재 상황에 대해 협력자 A씨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2월 초 중앙정부에서 인민위원회(지방정부)에게, 책임지고 인민을 돌보라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할 사람이 없는 '비노력세대', 고령자 세대, 명예 군인(상이군인) 등을 선정하여, 인민반장이 가정 방문을 하여 생활 실태를 조사하고 명부를 작성해 동사무소에 제출하고 있습니다."
즉, '지원 대상' 리스트를 만들라는 것인데, 대상자가 아닌 주민에게도 파급효과가 미치고 있다고 한다.
"많은 사람이 인민반장을 찾아가서 '우리도 힘들다. 어떻게든 명부에 올려 달라'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우리 인민반에서도 7세대가 부탁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노인들이 동사무소 앞에 모여서 '먹을 것이 없다, 어떻게든 해달라'고 큰 목소리로 요구하는 일도 자주 있습니다."
◆ 먹는 문제의 자력 해결은 어려워 당국과 간부에 의존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해도, 장사나 개인 고용을 당국이 엄격히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사라지고 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완전히 정부나 간부에게 의지하려는 경향이 생겼다고 A씨는 말한다.
"모두가 시장에서 장사를 하며 벌어먹고 살던 때가 좋았다고 말하지만, 굶주리게 되면 국가가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하며 노력하지 않고 그저 배고픔을 참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간부들은 담당하는 '절량세대'에서 아사자가 발생하면 책임 문제로 연결됩니다. (궁핍한 사람들 중에는) 옥수수 몇 kg이라면 요구하면 주지 않을까 하며, 마치 간부가 왕인 것처럼 아첨하고 아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 유엔 기구 "인구의 45.5%, 1180만 명이 영양실조 상태"라고 보고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최근 유엔 인권 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국민의 영양실조 비율은 2020년부터 3년 동안 평균 45.5%, 약 118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이전과 비교해 악화된 상태라고 한다.
이렇게까지 영양 상태가 악화한 것은, 김정은 정권이 주민의 개인적 경제 활동을 제한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여겨진다.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