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 북한군 치료 추정 러 병원, 질문에 답 않고 전화 끊어

英 가디언, 러 쿠르스크 병원 의료진 취재…'지난주 24명의 북한군 부상자 왔다'
우크라이나 매체인 ‘이보케이션 인포’는 17일 자신들의 텔레그램에서 공유한 영상에는 현지 병원에서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아시아계 남성들이 등장합니다. 이들 가운데 손에 붕대를 감은 사람 등 부상을 입은 듯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T.ME/RUSSIANOCONTEXT 텔레그램
앵커:부상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군을 치료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한 러시아 병원이 북한군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화를 바로 끊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27일 러시아 쿠르스크 시내의 한 병원 의료진을 만나 이 병원에서 부상당한 북한군을 치료한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매체는 병원 및 의료진 이름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24명의 북한군 부상자가 이 병원으로 왔는데 이들은 특별히 지정된 층으로 안내되었고 그곳은 경찰이 지키고 통역자와 의료진만 출입할 수 있게 했습니다. 병원 관계자는 북한이 전투에 참여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지만 부상 북한 군인들이 병원에 오기 전까지는 가짜 뉴스로 알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부상 북한 군인들은 대부분 포탄 파편 부상을 입었고 통역이 없이는 이들과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했다고 그는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일부 북한 군인들은 겁먹고 긴장한 모습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매체는 인구 50만의 쿠르스크 지역 주민들은 북한군이 이 지역에 와있는 것에 대해 모르는 것 같다고 보도했습니다. 쿠르스크 주민 6명과 인터뷰를 했는데 누구도 북한군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해 러시아가 북한군 이동을 철저히 제한하고 민간인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북한군 막사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우크라이나 매체인 ‘이보케이션 인포’는 지난 17일 자신들의 텔레그램에서 러시아 쿠르스크의 피로고바 거리에 소재한 병원에서 북한군 부상병 100여 명이 치료 중이라면서 관련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이보케이션 인포는 주소 '피라고바 20'에 위치한 병원이라고 밝혔는데 구글 지도로 확인해보면 이곳에는 '쿠르스크 주립 의과대학교 종양학과 병원'이 있습니다. 그 옆에 주소 '피라고바 14'에는 ‘쿠르스크 시립 응급 의료 클리닉 병원’이 있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7일 전화번호가 확인된 ‘쿠르스크 시립 응급 의료 클리닉 병원’에 전화를 해 러시아어로 북한군이 병원에서 치료 중인지 물어봤습니다.

[병원 측] 여보세요.
[기자] 안녕하세요. 저는 이상민이라고 합니다. 기자인데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북한군이 당신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맞는지요?
[병원 측]…찰칵(전화 끊는 소리)

RFA는 지난 17일과 18일에도 이 병원에 전화를 해서 같은 질문을 했는데 그 때도 대답하지 않고 바로 전화를 끊었습니다. RFA는 이 병원 근처의 식당, 교회 등에도 전화를 걸어 북한군을 본 적이 있느냐고 물어봤지만 다들 모른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친 러시아 성향의 텔레그램 채널인 ‘파라팩스’는 지난 26일 모스크바 군 병원에서 촬영된 영상이라며 북한군 부상병으로 추정되는 이들이 환자복을 입은 채 병실에서 TV를 시청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며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영상을 촬영한 러시아 부상병으로 보이는 인물이 북한군 부상병으로 보이는 이들에게 러시아어로 말을 걸었지만, 이들은 웃음으로만 응답했습니다.한 영상에서는 북한군 부상병으로 보이는 사람이 러시아어 알파벳을 죽 말하자 러시아 부상병으로 보이는 인물이 놀라는 장면이 나오기도 합니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최근 북한군 사상자가 3천 명을 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로
Copyright ⓒ 조갑제닷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댓글쓰기 주의사항

댓글달기는 로그인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내용은 100자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광고, 욕설, 비속어, 인신공격과 해당 글과 관련 없는 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PC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