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련 합법화' 주장 법륜을 초청, 콘서트 열겠다는 李明博의 청와대, 제정신인가?

관계자들 “임태희 前실장이 초청한 것”, “대통령은 참석 않는다”

청와대가 利敵단체 ‘한총련 합법화’와 ‘연방제 통일’을 공공연히 주장해온 法輪(법륜) 평화재단 이사장을 초청해 '토크 콘서트'를 가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토크 콘서트'는 송년행사 성격으로 오는 14일 오후 청와대 사랑채에서 열릴 예정이다. 참석 대상은 청와대 직원 및 직원의 자녀들이다. 法輪 이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비정규직, 청년실업, 주거 및 물가, 정치 참여 등 민감한 현안을 주제로 강연을 가질 예정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조갑제닷컴>과의 전화 통화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행사 참석 여부는 알고 있지 않다”면서 “임태희 전 대통령 실장께서 (法輪 이사장을) 초청하기로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최근에 결정된 것 아니겠느냐”고 밝혔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法輪 이사장의 이념적 성향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하자 “제가 얘기할 수 있는 범위의 질문이 아니다”라며 답변을 회피했다.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관계자는 “그런 행사가 있는지에 대해 기자 분 전화를 받고 알았다”면서 “저희 부서는 대통령 내외분이 참석하는 행사에 대해서만 알고 있다. 저희 쪽에서 모르고 있는 행사이기 때문에 대통령께서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이 같은 행보가 박근혜 의원이 한나라당 운영의 전면에 나설 것을 대비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멘토’로 알려진 法輪 이사장을 청와대로 초청해 토크 콘서트를 갖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기 때문이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9월8일 한국 사회의 ‘안철수 신드롬’과 관련, “안철수 교수의 모습을 보면서 ‘아! 우리 정치권에 올 것이 왔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李대통령은 “(국민이)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고 특히 정치권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그 변화의 욕구가 아마 안 교수를 통해 나온 것 아니겠느냐”면서 安 교수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했었다.

개념 없는 李대통령의 안철수 발언에 대해 親朴 인사로 알려진 정인봉 변호사는 최근 칼럼에서 “간통한 남자가 아주 집안에까지 바래다주러 들어오는 것을 보고 ‘내 이런 날이 올 줄 알았다’고 이야기한다면 그게 제 정신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면서 李대통령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지금 정치가 이 지경이 되도록 놓아 둔 것은 바로 대통령의 책임”이라며 “그런 비참한 사태가 왔는데도 ‘올 것이 왔다’고 하면서 정답을 맞힌 철없는 학생처럼 문제의식이 없다면 이건 정말 죽고 싶은 심정”이라고 지적했다.

류근일 前조선일보 주필은 최근 칼럼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은 ‘한나라당은 나와 무관’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말이 집권여당이지 이명박 대통령은 지금까지 당을 권력의 한 주주로 취급한 적이 없다”고 일갈했다. 

류 前주필은 “대통령의 소임 중 85%는 정치행위라 해야 할 것이다. 그걸 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날 대한민국 진영이 구심점 없이 표류하고 있다”면서 “대통령은 자신의 빈집에 다른 사람이 들어온 것을 보고 ‘올 것이 왔다’며 구경꾼처럼 감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구나 해경 이창호 경장이 영해 침범 중국어선을 단속하던중 칼에 찔려 죽었는데, 週末도 아닌 週中에 콘서트를 열고, 정치 승려를 초청, 강연을 듣겠다는 이명박의 청와대는 제 정신인가?

김필재(金泌材) spooner1@hanmail.net

[관련기사1] 안철수 멘토 法輪, <크리스찬아카데미> 활동 확인
고교시절 출가한 뒤, 20대 초반 단체서 '농민교육' 받아
金泌材
경북 울주 태생의 僧籍(승적) 없는 승려 法輪 은 고교시절 출가해 20대 초반 ‘크리스천아카데미’에서 농민 교육을 받았다/신동아 기사 캡쳐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멘토로 알려진 法輪(본명: 최석호) 평화재단 이사장은 젊은 시절 ‘크리스찬아카데미’에서 農民(농민)교육을 받았던 인물이다.

경북 울주 태생의 僧籍(승적) 없는 승려 法輪 이사장은 고교시절 출가해 20대 초반 ‘크리스천아카데미’에서 농민 교육을 받았다. 1983년 民衆(민중)불교 계열의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지도법사를 맡으면서 본격적인 사회활동을 시작했다.

1979년 농민운동 하는 단체에 자금 대다 경찰에 잡혀(?)

이와 관련, 월간지 <신동아>는 2002년 9월호에서 法輪 이사장이 ‘1979년 농민운동과 사회운동을 하는 단체에 자금을 댔다는 이유로 경찰 대공분실에서 잡혀가 며칠 동안 두들겨 맞고 물고문을 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1979년은 法輪 이사장의 親兄인 최석진(58세, 가명 김명선)이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된 시기이다. 당시 공안기관은 남민전을 ▲북한공산집단의 對南전략에 따라 國家變亂(국가변란)을 기도한 사건, ▲북한과 연계된 간첩단 사건, ▲무장 도시게릴라 조직 등으로 발표, 국보법 및 반공법 위반 등으로 처벌했다.

이와 함께 法輪 이사장이 젊은 시절 몸담았던 ‘크리스천아카데미’는 소위 ‘자주적인 노동운동 활동가’ 양성을 조직의 목표로 삼고 있는 단체로, 과거 각 분야 간사에서 활동했던 관계자들이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된 전력이 있는 조직이다.

한명숙,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 연루 구속되기도

일례로 1979년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된 인물로는 한명숙(前국무총리), 장상환(前민노당 정책위원장) 경상대 교수, 황한식(現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이우재(前열린당 국회의원), 신인령(前 이화여대 총장), 김세균(現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황한식 부산대 교수는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서 無罪판결을 받았으나, 7개월 후 남민전 사건에서 有罪판결을 받았다.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은 직접적인 간첩사건은 아니었으나 지식인들에 의한 體制(체제) 변혁 시도 가운데 하나였다. 실제로 당시 중앙정보부(중정) 발표에 따르면 이우재와 구속된 크리스찬아카데미 간사 5명은 ‘사회주의 건설을 실현한다’는 목적아래 비밀서클을 결성 ▲북한평양방송 및 통혁당목소리방송(現반제민전)을 청취-학습 하는 한편 ▲북한에서 발행한 마르크스 레닌의 유물사관 및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혁명전술등의 내용이 수록된 《현대사상연구》라는 불온책자를 비롯, 50여점의 각종불온책자를 탐독하면서 공산주의를 학습하고 북한의 노선에 동조하는 활동을 했다는 것이었다.

특히 이우재의 경우 크리스찬아카데미에 침투한 非종교인으로 1963년 발생한 통혁당(통일혁명당)사건의 주범이었던 북한간첩 李文奎(이문규)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 사상을 학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아일보> 1979년 4월17일자 보도 인용)

이 과정에서 당시 한양대 사학과 조교 출신의 정창렬(鄭昌烈)은 이우재 등에게 북한의 대남 선전 책자인 《현대사상연구》등의 책자를 빌려주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法輪 이사장이 1979년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 연루되어 경찰에 붙잡혔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분명한 것은 그는 승려의 신분으로 사회활동을 통해 줄곧 주장해온 것이 利敵단체 한총련 합법화, 憲法의 영토조항 및 국보법 개정, 美北수교와 평화체제 체결이다.

法輪, 한총련 합법화, 北체제 인정 주장

法輪 이사장은 2002년 7월19일 ‘10기 한총련 의장 석방, 한총련 이적규정 철회·합법화를 위한 민주사회단체 지도자 1000인 선언’에 참여, 한총련을 合法化(합법화)를 촉구했었다.

이와 함께 그는 평화재단이 2008년 7월10일 주최한 ‘건국 60주년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 토론회에서 ‘9도 연방제’를 제안하며 “남한을 서울과 5도로 나누어 연방 형태를 준비하고 북한을 3도로 나누는 것”으로 “南과 北이 ‘헤쳐모여’하는 방식으로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이다”라고 주장하며 違憲的(위헌적)인 연방제 통일을 주장했다.

그는 또 2005년 10월15일 ‘햇볕정책을 넘어 평화로 통일로’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 “지금까지는 남북이 각자 자신들만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주장하며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지 않았다…(중략) 이제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기를 원치 않는다면 좋으나 싫으나 상대방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憲法상 反국가 不法단체인 북한을 인정할 것을 주장했다.

'南北국립묘지 묻힌 순국선열, 통일 이후에도 둘 다 인정해야'

그는 이어 “(남북한이)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그 처지를 이해한 위에서 통일로 나아가려면, 방법은 1國 2體制(체제) 길밖에 없다”면서 “1國 2體制로 간다면 그것은 남북연합이나 연방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憲法과 국보법에 대해서도 “남한은 憲法의 영토조항이나 국가보안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힌 뒤, “남북의 국립묘지에 묻힌 순국선열 및 애국열사들은 통일 이후에도 둘 다 인정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륜 이사장은 2006년 10월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 “北의 핵개발을 이해는 하지만, 동조하지는 않는다. 안보의 핵심은 체제 보장이고, 체제 보장의 핵심은 평화협정 체결과 北美(북미)수교 아닌가? 北美관계를 정상화하면 핵을 폐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다”고 주장, 북한정권이 주한미군 철수의 논거로 주장해 온 美北수교와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했다.

[관련기사2] 안철수 멘토 ‘법륜’ 親兄, 공안사건 연루자 확인
親兄 최석진, 1979년 ‘남민전’ 조직원으로 검거 1심에서 死刑 선고 받아
金泌材(조갑제닷컴)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멘토로 알려진 僧籍(승적)없는 승려 法輪(본명 최석호)의 친형이 박정희 대통령 집권시절 발생한 최대 公安사건인 ‘남민전 사건’ 연루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무소유 공동체로 알려진 ‘푸른누리’를 운영 중인 法輪의 셋째 형 최석진(58)은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남민전) 조직원으로 검거되어 1심에서 死刑, 2심에서 無期를 선고 받은 인물이다. 복역 중 만성신장염으로 악화되어 1984년 겨울 형집행정지로 출소했다.

최 씨는 1968년 3월 고려대 경영학과에 입학 재학 중 6.8부정선거규탄대회, 3선 개헌 반대시위, 유신체제 반대시위 등에 참여했다. 1976년 12월 남민전 산하 민주투쟁국민위원회(민투)에 가입하고, 1977년 1월 남민전 조직원이 됐다.

남민전, 김일성 主體思想을 표방한 남한 내 ‘지하공산혁명’ 조직

같은 해 11월22일 남민전 청년학생위원회 총책으로 활동하면서 유신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민중의 소리> 등 각족 유인물을 제작-배포 활동을 주도했다. 당시 反유신 활동을 전개한 김기영, 차성환, 이수일, 노재창 등의 민투 가입을 추진했으며, 민주구국학생연맹, 민주구국교원연맹, 민주구국농민연맹 등의 조직을 결성해 남민전 간부로 조직 사업을 주도했다.

남민전 사건은 1960년대 인혁당-통혁당사건 관련자들이 출감 후 노동자·농민·청년학생 등 각계각층을 규합, 북한과의 연계 속에 결성한 지하공산혁명조직이다. 이 사건은 70년대를 대표하는 公安사건으로 관련자만 해도 100여 명이 넘었다. 남민전 사건 후 대검찰청은 2200여 면에 달하는 공소장과 판결문 등을 기초로 《좌익사건실록》 제12권을 발간했다.

實錄(실록)에 따르면, 남민전은 “主體思想(주체사상)을 확립하자”를 첫 번째로 하는 戰士(전사) 생활 규범10조를 마련하는 등 金日成 주체사상을 표방한 남한 내 최초의 지하조직이었다. 조직원들의 소위 ‘교양’ 역시 평양방송을 종합한 주체사상 자료 등이 사용됐다.

남민전은 북한과 연계된 조직이었다. 남민전의 주범 중 한명인 安龍雄(안용웅)은 일본을 거쳐 越北(월북)해 金日成에게 사업보고서와 서신을 제출했으며, 이는 對南방송에 의해서도 확인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민전은 공산혁명이 이뤄지면 북한군에 지원 요청할 것을 모의했으며, 혁명이 성공하면 중앙청에 게양할 붉은 별이 그려진 대형 戰線旗(전선기)를 준비하기도 했다. 전선기의 상부는 적색으로 해방된 지역인 북한을, 하부는 청색으로 未(미)해방지역인 남한을 상징하며, 중앙의 붉은 별은 사회주의 혁명의 희망을 의미했다.

10여 페이지에 달하는 ‘김일성에게 바치는 書信(서신)’ 작성

문제의 깃발은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당한 도예종 등 소위 ‘8열사’가 입었던 내의를 염색한 천으로 만들어졌다. 《좌익사건실록》은 남민전이 金日成에게 바치는 서신을 수록하고 있다.

10여 페이지에 달하는 문제의 서신은 “경애하는 수령 金日成 원수님께옵서 인도하는 조선민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품 안으로 안기는 영광스러운 조국통일의 그날을 앞당기기 위하여 목숨을 걸고 투쟁하고 있습니다”는 등 金日成에 대한 찬양과 숭배 그리고 대한민국에 대한 부정으로 일관하고 있다.

남민전은 1979년 대부분의 조직원이 검거됐지만 남민전이 운동권에 미친 영향은 至大(지대)했다. 우선 남민전 잔당들은 80년대 左翼세력에게 주체사상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을 공산화하기 위해서는 ‘反美’라는 反제국주의 투쟁이 중요하다는 남민전의 투쟁노선 역시 그대로 수용됐다.

남민전에 직접 연루돼 검거됐던 이들 역시 80년 左翼세력의 큰 축을 형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左翼사상범에서 전향한 소설가 김정익 씨는 교도소 내 남민전 연루자들과 겪었던 경험을 기반으로 1989년 ‘수인(囚人)번호 3179’라는 책을 쓴 바 있다.

이 책에서 金씨는 “남민전 조직원들은 교도관 연락책까지 동원, 교도소 내외에 비밀지령을 주고받으며 조직을 강화시킬 정도로 치밀했다”면서 “남민전이 교도소 내에서 조직을 강화시켜 국내 左翼세력의 토대가 됐다”고 주장했다.

金씨는 남민전 연루자인 시인 김남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교육을 받았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김남주가 반복해 교육했던 내용 중 한 가지는 다음과 같다.

“계급적 적들을 증오하라. 철저히 증오하라. 남조선에서 민중혁명이 일어나면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이 사회의 민족반동세력을 철저히 죽여 없애는 것이다. 그 숫자는 200만 정도는 될 것이다. 그래야만 혁명을 완전하게 완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민전 사건 연루자, 우리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동 중

남민전 사건에 연루됐던 이수일, 임헌영, 홍세화, 권오헌은 출소 후 각각 전교조(前위원장) 활동, 친일청산(現민족문제연구소장), 정치활동(現진보신당 대표), 친북단체 운동(양심수 후원회 명예회장) 등의 활동을 벌여왔다. 남민전 사건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던 이재오 씨는 이명박 정부에서 특임장관을 지낸 뒤 현재 한나라당 의원으로 활동 중 이다.

한편, 法輪 평화재단 이사장은 20대 초반 ‘크리스천아카데미’에서 농민 교육을 받았다.

그는 親兄인 최석진이 검거된 시기인 1979년 농민운동과 사회운동을 하는 단체에 자금을 댔다는 이유로 경찰 공안 분실에 잡혀가 물고문을 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사건이 親兄과 관련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다. (인터넷 <신동아> 2002년 9월1일자 보도 인용)

世間(세간)에서 안철수 서울대금융과학기술대학원장의 멘토로 알려져 있는 法輪 이사장은 安 원장이 참여했던 ‘청춘콘서트’의 실제 기획자이다. 安 원장의 또 다른 멘토인 윤여준 前환경부 장관은 法輪 이사장이 주도해온 평화재단 산하 ‘평화교육원’ 원장이다.

지난해 11월 ‘평화교육원’ 주도로 서울 경기 등 전국 6개 도시에서 동시 진행된 ‘평화재단 열린아카데미’에는 法輪 이사장과 윤 前장관을 비롯, 서울 시장이 된 박원순 변호사, 배우 김여진, 방송인 김제동 등 安 원장의 멘토로 알려진 인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김필재(金泌材)/spooner1@hanmail.net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로
Copyright ⓒ 조갑제닷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댓글쓰기 주의사항

댓글달기는 로그인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내용은 100자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광고, 욕설, 비속어, 인신공격과 해당 글과 관련 없는 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PC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