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利敵단체 ‘한총련 합법화’와 ‘연방제 통일’을 공공연히 주장해온 法輪(법륜) 평화재단 이사장을 초청해 '토크 콘서트'를 가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토크 콘서트'는 송년행사 성격으로 오는 14일 오후 청와대 사랑채에서 열릴 예정이다. 참석 대상은 청와대 직원 및 직원의 자녀들이다. 法輪 이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비정규직, 청년실업, 주거 및 물가, 정치 참여 등 민감한 현안을 주제로 강연을 가질 예정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조갑제닷컴>과의 전화 통화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행사 참석 여부는 알고 있지 않다”면서 “임태희 전 대통령 실장께서 (法輪 이사장을) 초청하기로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최근에 결정된 것 아니겠느냐”고 밝혔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法輪 이사장의 이념적 성향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하자 “제가 얘기할 수 있는 범위의 질문이 아니다”라며 답변을 회피했다.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관계자는 “그런 행사가 있는지에 대해 기자 분 전화를 받고 알았다”면서 “저희 부서는 대통령 내외분이 참석하는 행사에 대해서만 알고 있다. 저희 쪽에서 모르고 있는 행사이기 때문에 대통령께서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이 같은 행보가 박근혜 의원이 한나라당 운영의 전면에 나설 것을 대비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멘토’로 알려진 法輪 이사장을 청와대로 초청해 토크 콘서트를 갖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기 때문이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9월8일 한국 사회의 ‘안철수 신드롬’과 관련, “안철수 교수의 모습을 보면서 ‘아! 우리 정치권에 올 것이 왔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李대통령은 “(국민이)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고 특히 정치권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그 변화의 욕구가 아마 안 교수를 통해 나온 것 아니겠느냐”면서 安 교수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했었다.
개념 없는 李대통령의 안철수 발언에 대해 親朴 인사로 알려진 정인봉 변호사는 최근 칼럼에서 “간통한 남자가 아주 집안에까지 바래다주러 들어오는 것을 보고 ‘내 이런 날이 올 줄 알았다’고 이야기한다면 그게 제 정신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면서 李대통령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지금 정치가 이 지경이 되도록 놓아 둔 것은 바로 대통령의 책임”이라며 “그런 비참한 사태가 왔는데도 ‘올 것이 왔다’고 하면서 정답을 맞힌 철없는 학생처럼 문제의식이 없다면 이건 정말 죽고 싶은 심정”이라고 지적했다.
류근일 前조선일보 주필은 최근 칼럼을 통해
류 前주필은 “대통령의 소임 중 85%는 정치행위라 해야 할 것이다. 그걸 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날 대한민국 진영이 구심점 없이 표류하고 있다”면서 “대통령은 자신의 빈집에 다른 사람이 들어온 것을 보고 ‘올 것이 왔다’며 구경꾼처럼 감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구나 해경 이창호 경장이 영해 침범 중국어선을 단속하던중 칼에 찔려 죽었는데, 週末도 아닌 週中에 콘서트를 열고, 정치 승려를 초청, 강연을 듣겠다는 이명박의 청와대는 제 정신인가?
김필재(金泌材) spooner1@hanmail.net
| |
![]() |
![]() |
고교시절 출가한 뒤, 20대 초반 단체서 '농민교육' 받아 |
金泌材 |
![]() |
경북 울주 태생의 僧籍(승적) 없는 승려 法輪 이사장은 고교시절 출가해 20대 초반 ‘크리스천아카데미’에서 농민 교육을 받았다. 1983년 民衆(민중)불교 계열의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지도법사를 맡으면서 본격적인 사회활동을 시작했다. 1979년 농민운동 하는 단체에 자금 대다 경찰에 잡혀(?) 이와 관련, 월간지 <신동아>는 2002년 9월호에서 法輪 이사장이 ‘1979년 농민운동과 사회운동을 하는 단체에 자금을 댔다는 이유로 경찰 대공분실에서 잡혀가 며칠 동안 두들겨 맞고 물고문을 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1979년은 法輪 이사장의 親兄인 최석진(58세, 가명 김명선)이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된 시기이다. 당시 공안기관은 남민전을 ▲북한공산집단의 對南전략에 따라 國家變亂(국가변란)을 기도한 사건, ▲북한과 연계된 간첩단 사건, ▲무장 도시게릴라 조직 등으로 발표, 국보법 및 반공법 위반 등으로 처벌했다. 이와 함께 法輪 이사장이 젊은 시절 몸담았던 ‘크리스천아카데미’는 소위 ‘자주적인 노동운동 활동가’ 양성을 조직의 목표로 삼고 있는 단체로, 과거 각 분야 간사에서 활동했던 관계자들이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된 전력이 있는 조직이다. 한명숙,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 연루 구속되기도 일례로 1979년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된 인물로는 한명숙(前국무총리), 장상환(前민노당 정책위원장) 경상대 교수, 황한식(現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이우재(前열린당 국회의원), 신인령(前 이화여대 총장), 김세균(現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황한식 부산대 교수는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서 無罪판결을 받았으나, 7개월 후 남민전 사건에서 有罪판결을 받았다.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은 직접적인 간첩사건은 아니었으나 지식인들에 의한 體制(체제) 변혁 시도 가운데 하나였다. 실제로 당시 중앙정보부(중정) 발표에 따르면 이우재와 구속된 크리스찬아카데미 간사 5명은 ‘사회주의 건설을 실현한다’는 목적아래 비밀서클을 결성 ▲북한평양방송 및 통혁당목소리방송(現반제민전)을 청취-학습 하는 한편 ▲북한에서 발행한 마르크스 레닌의 유물사관 및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혁명전술등의 내용이 수록된 《현대사상연구》라는 불온책자를 비롯, 50여점의 각종불온책자를 탐독하면서 공산주의를 학습하고 북한의 노선에 동조하는 활동을 했다는 것이었다. 특히 이우재의 경우 크리스찬아카데미에 침투한 非종교인으로 1963년 발생한 통혁당(통일혁명당)사건의 주범이었던 북한간첩 李文奎(이문규)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 사상을 학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아일보> 1979년 4월17일자 보도 인용) 이 과정에서 당시 한양대 사학과 조교 출신의 정창렬(鄭昌烈)은 이우재 등에게 북한의 대남 선전 책자인 《현대사상연구》등의 책자를 빌려주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法輪 이사장이 1979년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에 연루되어 경찰에 붙잡혔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분명한 것은 그는 승려의 신분으로 사회활동을 통해 줄곧 주장해온 것이 利敵단체 한총련 합법화, 憲法의 영토조항 및 국보법 개정, 美北수교와 평화체제 체결이다. 法輪, 한총련 합법화, 北체제 인정 주장 法輪 이사장은 2002년 7월19일 ‘10기 한총련 의장 석방, 한총련 이적규정 철회·합법화를 위한 민주사회단체 지도자 1000인 선언’에 참여, 한총련을 合法化(합법화)를 촉구했었다. 이와 함께 그는 평화재단이 2008년 7월10일 주최한 ‘건국 60주년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 토론회에서 ‘9도 연방제’를 제안하며 “남한을 서울과 5도로 나누어 연방 형태를 준비하고 북한을 3도로 나누는 것”으로 “南과 北이 ‘헤쳐모여’하는 방식으로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이다”라고 주장하며 違憲的(위헌적)인 연방제 통일을 주장했다. 그는 또 2005년 10월15일 ‘햇볕정책을 넘어 평화로 통일로’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 “지금까지는 남북이 각자 자신들만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주장하며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지 않았다…(중략) 이제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기를 원치 않는다면 좋으나 싫으나 상대방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憲法상 反국가 不法단체인 북한을 인정할 것을 주장했다. '南北국립묘지 묻힌 순국선열, 통일 이후에도 둘 다 인정해야' 그는 이어 “(남북한이)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그 처지를 이해한 위에서 통일로 나아가려면, 방법은 1國 2體制(체제) 길밖에 없다”면서 “1國 2體制로 간다면 그것은 남북연합이나 연방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憲法과 국보법에 대해서도 “남한은 憲法의 영토조항이나 국가보안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힌 뒤, “남북의 국립묘지에 묻힌 순국선열 및 애국열사들은 통일 이후에도 둘 다 인정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륜 이사장은 2006년 10월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 “北의 핵개발을 이해는 하지만, 동조하지는 않는다. 안보의 핵심은 체제 보장이고, 체제 보장의 핵심은 평화협정 체결과 北美(북미)수교 아닌가? 北美관계를 정상화하면 핵을 폐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다”고 주장, 북한정권이 주한미군 철수의 논거로 주장해 온 美北수교와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