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南侵과 UN북한인권 조사위-우린 뭐하고 있나?

사이버 테러로 북은 이미 공격을 가해 왔다. 전투상항인 것이다.

한반도를 둘러싸고 북(北)과 국제사회라는 두 무사(武士)가 칼싸움을 벌리는데 한국의 당쟁(黨爭) 문사(文士)들은 도무지 그런 정세와는 무관하게 살고 있다. 그들은 그저 도심(都心) 관청과 한강 여의도가 세상의 전부인 줄 안다.

북은 사이버 테러(북이 아니면 누가 이런 짓을 하겠는가?)로 우리사회를 일시에 마비시키려 했다. 그리고 유엔은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설치를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그런데 우리 정치인들과 일부 공직자와 일부 지식인과 일부 국민은 여전히 그 풍운(風雲)의 뒷골목에서 놀고 있다.

사이버 테러로 북은 이미 공격을 가해 왔다. 전투상항인 것이다. 유엔은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설치로 김정은 정권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할 길을 텄다. 이 역시 전투상황이다. 그런데 우리 지도급이라는 위인들만은 그 주전장(主戰場) 최일선에 장수로서 서있지 않다.

우리사회의 취약점은 바로 이것이다. 적이 공격을 해대고 국제사회가 반격을 하는데 우리의 '잘난 것들'은 맨날 '풍신수길(豊臣秀吉)이 출병을 할 것이냐, 안 할 것이냐?'를 놓고 한가롭고 하찮기 짝이 없는 입씨름들만 벌리고 있는 것.

북은 정확하게 알고 있다. 남북관계는 우리사회의 자칭 유식하다는 ‘말꾼’들이 뭐라 뭐라고들 지저귀지만 본질에 있어 역시 ‘투쟁’의 관계라는 것을. 유엔도 이제는 정확하게 알기 시작했다. 북한 문제는 핵 문제이지만 동시에 북한정권의 속성(屬性)과 존재 그 자체의 문제라는 것, 따라서 그 본질문제를 가지고 목을 죄야(투쟁) 하겠다는 것을. 

이 냉엄한 사실과 진실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의 소위 배웠다는 문사(文士)들은 그것을 한사코 직시하지 않으려 한다. 바로, 오랜 문약(文弱)의 타성인 것이다. 그러면서 그들은 자신들의 이른바 ‘합리적’ 이론(理論)과 가설(假說)에 따라 남북관계를 ‘비(非)투쟁적’ 관계로 주조(鑄造)할 수 있다고 고집한다. 하기야 그렇게만 된다면야.

그러나 현실과 역사는 이론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북이 ’그런 ‘합리적’ 틀에 맞춰줄 리도 만무하다. 북의 3대 세습 전제군주제는 ‘합리적’으로 바꿨다가는 유지가 안 된다고 믿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바보인가, 우리의 ’합리적‘ 희망에 맞춰주다가 제풀에 흔들흔들하게..

우리가 이렇게 그 잘난 조선조 양반 행세를 하는 동안 북은 핵을 가진 북방 유목민족이 되어 “전쟁이냐, 굴복이냐?”로 나오고 있다. 그리고 유엔도 북의 인권문제로 정면 싸움을 하기 시작했다.

이 싸움에서 우리사회의 소위 ‘정관계 지도층’만 한가롭다(예외적 인사들도 물론 있을 것이지만). 도무지 무사적 용맹성이 보이질 안는다. 그러면서 그들은 말한다 “그래서 전쟁하잔 말이냐?”고. 그러나 전쟁하지 않으려면 전쟁할 수 있는 ‘맞대응 능력’과 정신과 태세를 갖춰야 한다. 그 한 고리로서 우리도 이젠 북한 마피아 권력 집단의 존재 자체가 만악의 근원임을 뒤늦게나마 직시해야 한다.

류근일 2013/3/22

류근일의 탐미주의 클럽(cafe.daum.net/aestheticismclub)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로
Copyright ⓒ 조갑제닷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댓글쓰기 주의사항

댓글달기는 로그인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내용은 100자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광고, 욕설, 비속어, 인신공격과 해당 글과 관련 없는 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PC 버전